[번역] 왜 아무도 베토벤 월광 소나타(Moonlight Sonata)의 2악장을 모르나요?

  소개 만약 여러분이 지금 이 비디오의 배경에 있는 음악(월광 소나타 1악장)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여러분은 지금까지 쓰여진 가장 유명한 클래식 피아노 음악 중 하나(기본적으로 인터넷의 모든 웹사이트에 따르면)를 알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저는 여러분이 (월광 소나타를 알지도 못하면서) 클래식 피아노 음악에 관한 유튜브 채널을 보고 있다는 사실에 대해 약간 혼란스럽고 더보기…

[번역] 모차르트 “음악적 농담(A Musical Joke)” 의 끔찍한 대위법

원본 영상 개요 이 비디오에서 저는 모차르트의 K.522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에서 의도적으로 작곡된 끔찍한 대위법에 대해 이야기 할 것입니다. “Ein Musicalischer Spass”라는 제목은 전통적으로 “A Music Joke(음악적 농담)”로 번역되었지만 아마도 “Some Music Fun(약간의 음악 장난)”이 더 정확한 번역일 것입니다. 제가 가장 좋아하는 명절인 만우절에 이 글을 발표하기 때문에 이 주제가 적절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더보기…

수크(Josep Suk): Barcarolle from String Quartet d minor

심즈3에서 나오는 곡인데, 오디오를 선택하고 장르를 클래식으로 선택하면 이 곡이 나옵니다. 작곡가는 후기 낭만파 시대의 작곡가 요제프 수크이며 이전에 한 번 이 작곡가에 대해 올림픽 은메달을 수상한 작곡가로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바로가기) 이 곡에 대한 정보는 아무리 찾아도 나오지 않습니다. 그나마 찾은 정보는 수크가 1888년(13세) 때 작곡했던 곡을 1923년에 개정한 더보기…

수크(Josef Suk): Towards a New Life (새로운 삶을 향해; 1932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은메달 수상)

Josef Suk 요세프 수크(Josef Suk, 1874년 1월 4일 ~ 1935년 5월 29일)는 체코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린 연주자이다. 수크는 크르제초비체(Křečovice)에서 태어났다. 1885년부터 1892년까지 프라하 음악원에서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제자였고, 1898년에 드보르자크의 딸과 결혼했다. 그 후 그의 세 명의 제자와 함께 체코 사중주단을 결성했으며 그는 제2바이올린을 맡았고, 생애 대부분 이 사중주단에서 활동했다. 1922년부터 프라하 더보기…

드뷔시: 야상곡 (Nocturnes)

I. Nuages 0:00 II. Fêtes 7:28 III. Sirènes 13:44 『야상곡』(Nocturnes)는 클로드 드뷔시가 1897년부터 1899년까지 제작한 오케스트라 곡. “구름”·”축제”·”시레느”의 3곡으로 된 일종의 모음곡이다. 프랑스어 그대로 『녹튀르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야상곡”은 필드에 시작되는 쇼팽이 발전시킨 기악곡의 1장르이지만, 드뷔시의 『야상곡』은 탐미주의의 미국 화가 휘슬러, “녹턴”이란 제목의 그림 시리즈 중 『파랑과 은색의 녹턴』(1871년 ~ 1872년), 더보기…

바흐: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Concerto for Two Violins in D minor)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D 단조 BWV1043」 (Concerto for Two Violins in D minor)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작곡 한 2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에서 그의 남긴 3곡의 바이올린 협주곡 중 1곡에 해당한다. 대위법을 정확하게 도입한 작품으로, 두 대의 바이올린과 합주에 의한 “소리의 직물을 엮었다” 같은 구성이다. 1730년 무렵부터 다음 해 더보기…

파울 힌데미트(Hindemith): 백조 고기를 굽는 사나이(Der Schwanendreher)

백조 고기를 굽는 사나이(Der Schwanendreher)는 파울 힌데미트가 작곡한 독주 비올라와 관현악을 위한 그의 세 번째 비올라 협주곡이다. 이 곡은 윌리엄 월튼과 버르토크 벨러의 협주곡과 더불어 중요한 비올라 연주곡이다. 1935년 9월에 힌데미트는 작곡을 시작해 10월 13일 베를린에서 완성했고, 같은 해 11월 14일에 암스테르담에서 콘세르트헤보 관현악단과의 협연으로(지휘:빌렘 멩겔베르크) 작곡자 자신이 독주 비올라를 더보기…

드뷔시: 달빛 (Suite bergamasque, L. 75 – 3. Clair de lune) 앨리스 사라 오트 연주

이번에 사라 오트가 신작 앨범을 내면서 티저 영상도 같이 나왔는데 제가 예전부터 생각해왔던 달빛의 이미지랑 너무 맞아 떨어지는 영상이 나와서 공유해봅니다.. 내림 라장조, Andante très expressif 8분의 9박자. 대부분 피아니시모로 연주되는 야상곡에서 부드럽게 안타까운 악상으로 유명하다. 중간 부분의 우아한 선율은 교회 선법의 일종인 믹소리디아 선법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1900년부터 1901년까지 출판된 드뷔시의 더보기…

라벨: 피아노 협주곡 G장조 (앨리스 사라 오트 연주)

앙코르로 라 발스(오케스트라 버전, 27:47)도 있습니다 『피아노 협주곡 G 장조』(프랑스어: Le Concerto en sol majeur)는 프랑스의 작곡가 모리스 라벨이 만년에 작곡 한 2곡의 피아노 협주곡 중 하나이다. 라벨의 죽음의 6년 전 (1931 년)에 완성된, 라벨의 완성된 작품으로는 마지막에서 두 번째에 해당한다. 병행하여 작곡된 「왼손을 위한 피아노 협주곡」(1930년 완성)의 중후함과는 대조적으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