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us iste

Locus iste(이 장소), 카탈로그 번호 WAB 23은 안톤 브루크너 (Anton Bruckner; 1824~1896)가 1869년에 작곡한 종교 모테트(motet)입니다. 이 작품의 텍스트(가사)는 교회 봉납식을 매년 축하하기 위한 라틴어 화답송(gradual) “Locus iste“입니다. 시작 구절(incipit)의 “Locus iste a Deo factus est”라는 문구는 “이 곳은 신에 의해 만들어졌다”라는 뜻입니다. 브루크너는 자신이 대성당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던 오스트리아 린츠의 새 대성당에서 열린 Votivkapelle(보티프카펠레; 봉헌 예배당)의 봉헌을 위해 이 곡을 무반주 4개의 성부(SATB)로 설정했습니다. 브루크너가 비엔나에서 작곡한 최초의 모테트입니다. 이 작품은 다른 세 개의 화답송 모테트와 함께 1886년에 출판되었습니다.

뚜렷한 기교적 어려움이 없는 작품으로, 교회 합창단과 전문가들이 종종 교회 봉헌식을 축하하기 위해 연주해 왔습니다.

 

역사

브루크너는 1869년 8월 11일 Locus iste를 작곡했습니다. 이 곡은 오스트리아 린츠(Linz)의 새 대성당(New Cathedral)에서 열린 Votivkapelle(봉헌 예배당) 봉헌식을 위해 작곡되었습니다. 새 대성당은 1862년부터 건설 중이었고, Votivkapelle는 1869년 첫 번째 구역으로 완성되었습니다. 그 당시 브루크너는 비엔나에 살면서 비엔나 음악원에서 화성과 대위법 과목의 교수였고, 1876년부터 비엔나 대학에서 시간 강사로도 활동했습니다. 그는 1855년부터 1868년까지 오르간 연주자로 활동했던 린츠의 구 대성당(Old Cathedral)과 강한 유대감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는 이미 프란츠 요제프 뤼디지에(Franz-Josef Rudigier) 주교로부터 새 대성당의 주춧돌을 놓기 위한 축제 칸타타를 작곡에 대한 의뢰를 받았고, 막시밀리안 파메스베르거(Maximilian Pammesberger)의 가사를 바탕으로 Preiset den Herrn(주님을 찬양하라)을 작곡했는데, 이 곡은 1862년 5월 1일에 건설 현장에서 공연되었습니다.

Locus iste의 라틴어 텍스트는 교회 봉헌 기념일인 Kirchweih 미사의 일부인 화답송(gradual) Locus iste입니다. 일부 출처에서는 이 모테트가 1869년 9월 29일 봉헌일에 브루크너의 마단조 미사(Mass in E Minor)의 첫 공연과 함께 처음 공연되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4주 후인 10월 29일 같은 장소에서 공연되었습니다. 브루크너는 이 작품을 비엔나 음악원의 학생 중 한 명인 Oddo Loidol에게 헌정했습니다. 이 작품은 비엔나에서 작곡된 브루크너의 첫 번째 모테트였습니다.

Bottmingen의 Wilhelm 박사의 컬렉션에 포함된 원고인 모테트는 1886년 비엔나의 Theodor Rättig에 의해 화답송 음절(Christusfactus est, WAB 11, Os justi, WAB 30 및 Virga Jesse, WAB 52)을 기반으로 한 세 개의 다른 모테트와 함께 편곡되었습니다. Locus iste는 종종 교회 봉헌 기념일에 공연됩니다. 현대 비평판은 Gesamtausgabe의 밴드 XXI/25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음악

이 모테트는 무반주 혼성 합창단을 위해 쓰여졌습니다. 다장조의 공통박자(Common time; 4/4)로 48마디, 연주시간은 약 3분 정도 소요됩니다. 본문은 성서에 나오는 야곱의 사다리(Jacob’s Ladder) 이야기, 야곱이 “야훼께서 과연 여기 계시거늘 내가 알지 못하였도다”(창 28:16)라고 말한 이야기를 바탕으로 성스러운 장소의 개념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곳은 모세는 불타는 떨기나무에서 “네 발에서 신을 벗으라. 네가 선 곳은 거룩한 땅이니라”(출 3:5)는 명령을 받았다고 전해지는 곳입니다.

 

텍스트 (화답송 Locus iste로부터)

Locus iste a Deo factus est,
이곳은 하느님이 만든 곳이고,

inaestimabile sacramentum,
매우 귀중한 성찬;

irreprehensibilis est.
그것은 나무랄 데가 없습니다.

브루크너는 텍스트의 세 라인을 ABA 다 카포 형식으로 구성하고 코다로 마무리했습니다. A는 첫 번째 줄을 포함하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줄을 구성합니다. Peter Strasser는 이 작품이 다카포 형태의 대칭성과 빌딩 블록과 같은 모티프의 사용과 같은 건축 요소를 반영한다고 제안합니다.

모테트는 Allegro moderato로 표시되어 있으며 호모포니(homophony) 형식으로 차분하게 시작됩니다. Max Auer는 이 아름다운 작품이 Mozart의 Ave verum과 맞닿아 있다고 주목합니다. A. Crawford Howie는 이 작품이 “모차르트적 악구로 시작하지만 곧 브루크너의 특징적 진행을 도입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 단계 더 높게 시작하는 첫 번째 줄의 반복은 mf로 표시되어 “a Deo factus est“를 더 높고 강하게 확인한 다음 부드럽게 반복합니다. 베이스는 각각 “a Deo factus est”로 시작됩니다. 음악학자 앤서니 카버(Anthony Carver)는 브루크너의 많은 모테트에서 “구조적으로 중요한 지점에서 베이스 부분의 분리”를 언급합니다.

베이스는 또한 f로 표시된 새로운 상승 모티프로 두 번째 라인을 시작합니다. 위쪽 성부는 호모포니를 따릅니다. 이 라인은 전체 톤이 높은 시퀀스로 반복되며 ff로 표시됩니다. 반 마디 정도 멈춘 후 소프라노와 알토가 모방한 반복되는 음표의 중간 부분에서 갑자기 테너만 시작됩니다. 섹션 전반에 걸쳐 베이스 기반 없이 상위 성부만 정의되지 않은 음조로 시작하여 반음계로 노래합니다. 점진적인 크레센도에서는 강도가 높아지지만 mf까지만 증가합니다.
Iso Camartin은 Neue Zürcher Zeitung의 작업에 대한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das unanfechtbare Geheimnis(비난할 수 없는 미스터리)는 unfassbar(이해할 수 없음) 및 beunruhigend(불안함)로 나타납니다. Ryan Turner는 “투명한 반음계”라고 설명했습니다.

마디 반을 더 쉬고 나면 첫 번째 줄이 반복됩니다.

마지막 “factus est” 대신 “Deo“라는 단어는 엄격하고 엄격한 음절 구성의 유일한 멜리스마로 확장됩니다. 모테트가 포함된 뉴욕 오라토리오 협회 CD의 프로그램 노트 작성자는 멜리스마가 “천상의 마법을 휘두른다”고 썼습니다. “5박자를 주의 깊게 측정함으로써” 긴 일반적인 멈춤으로 이어지며 “a Deo, Deo factus est“가 마지막으로 반복되어 “평화롭고 고요하게” 마무리됩니다. Oratorio Society 노트의 저자는 “Locus iste는 그것이 존경했던 조용한 예배당을 연상시키는 잊혀지지 않을 정도로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말하며 결론을 내립니다. Gramophone에 대한 글을 쓴 Malcolm Riley는 이를 “숭고하고 (그리고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어렵다)”라고 불렀습니다.

문의 | 코멘트 또는 yoonbumtae@gmail.com


카테고리: Classical Music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