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ing Out
“Bring out”은 음악에서 “부각시키다”, “두드러지게 연주하다”라는 의미입니다.
베이스 클라리넷과 바순에 이 표시가 있다면, 해당 악기들이 연주하는 선율이나 리듬을 다른 악기들보다 더 명확하고 두드러지게 들리도록 연주하라는 지시입니다.
구체적으로는:
- 음량을 조금 더 크게 연주하여 다른 성부들 위로 선율이 떠오르도록 하기
- 표현을 더 명확하게 하여 청중이 그 선율을 잘 들을 수 있도록 하기
- 반주나 다른 성부들은 상대적으로 배경으로 물러나도록 조절하기
베이스 클라리넷과 바순은 중저음역 악기들이라서, 때때로 다른 악기들에 묻혀서 잘 안 들릴 수 있는데, “bring out” 표시는 이런 상황에서 해당 악기의 역할을 청중에게 명확히 전달하라는 지휘자나 작곡가의 의도를 나타냅니다.
martellato (martell.)
이는 이탈리어 음악 용어로 “망치로 치듯이”라는 뜻입니다.
피아노의 연주법상으로는:
- 각 음을 강하고 명확하게 타격하듯이 연주
- 손가락을 망치처럼 사용해서 건반을 단호하게 누름
- 음과 음 사이를 분리해서 연주 (레가토의 반대)
- 강조되고 날카로운 터치로 연주
주로 강렬한 표현이 필요한 부분이나 리듬감을 살려야 하는 구간에서 사용되는 연주법입니다. 특히 행진곡풍의 음악이나 드라마틱한 클라이맥스 부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지시어입니다.
목관악기에서 martellato는:
- 텅잉을 강하고 명확하게 – 혀로 리드나 마우스피스를 단호하게 끊어줌
- 각 음의 시작을 날카롭게 – 마치 스타카토처럼 음의 어택을 강조
- 음과 음 사이를 분리 – 레가토 없이 끊어서 연주
- 다이나믹을 강하게 – 보통 forte나 fortissimo와 함께 사용
피아노처럼 “망치로 치듯이”는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그와 같은 강렬하고 단호한 느낌을 텅잉과 호흡으로 표현하는 거죠.
특히 클라리넷이나 오보에 같은 리드 악기에서는 텅잉을 더 강하게 하고, 플루트에서는 공기를 더 집중적으로 불어넣어서 음의 시작을 날카롭게 만듭니다.
결국 “날카롭고 강렬하게”라는 음악적 의도는 같되, 악기 특성에 맞는 주법으로 표현하면 됩니다.
bell tones (호른, 트롬본에서)
“Bell tones”는 호른과 트롬본에서 사용하는 특수 주법입니다.
호른의 bell tones:
- 벨(나팔 부분) 안에 손을 완전히 막아서 연주
- 일반적인 핸드호른 주법(손으로 음정 조절)과는 다름
- 손으로 벨을 완전히 막으면 특별한 금속성의 울림이 나옴
- 음정이 약간 변하고 음색이 매우 독특해짐
- 보통 + 기호나 “stopped”와 함께 표기되기도 함
트롬본의 bell tones:
- 벨 끝부분을 손이나 뮤트로 막아서 연주
- 또는 벨을 악보대나 다른 물체에 대고 연주하기도 함
- 소리가 막혀서 뚫린 소리가 아닌 막힌 소리가 남
- 음량이 줄어들고 음색이 어둡고 무겁게 변함
두 악기 모두 벨을 막음으로써 평소와 다른 특별한 음색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법입니다. 현대 음악이나 효과음이 필요한 곡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Risoluto
Risoluto는 음악 용어로 “결연하게”, “단호하게”라는 뜻의 이탈리아어 표현 지시어입니다.
음악적 의미:
- 연주자에게 확고하고 결단력 있는 표현으로 연주하라고 지시
- 망설임 없이 명확하고 단호한 음향을 만들어내야 함
- 보통 강한 다이내믹과 명확한 아티큘레이션을 동반
사용 예시:
- “Allegro risoluto” – 빠르고 결연하게
- “Andante risoluto” – 보통 빠르기로 단호하게
- 베토벤, 브람스 등의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표현
연주상의 특징:
- 음의 시작을 명확하게 공격
- 프레이징이 확실하고 방향성이 뚜렷
- 감정적으로는 의지적이고 남성적인 성격
- 템포 루바토나 과도한 표현보다는 안정적이고 견고한 연주
클래식 음악에서 작곡가가 특정한 감정이나 성격을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중요한 음악적 지시어 중 하나입니다.
poco (조금, 약간)
“Poco”는 이탈리아어로 “조금”, “약간”이라는 뜻입니다. 음악에서는 템포나 표현 기호와 함께 사용되어 “조금 더”, “약간 더”라는 의미로 쓰입니다.
음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poco의 예시들:
- Poco a poco – 점진적으로, 조금씩
- Poco ritardando (poco rit.) – 조금씩 느리게
- Poco accelerando – 조금씩 빠르게
- Poco forte – 조금 강하게
- Poco più mosso – 조금 더 빠르게
- Poco meno mosso – 조금 더 느리게
이처럼 poco는 음악적 변화를 점진적이고 미묘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갑작스러운 변화가 아닌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들 때 사용하는 중요한 음악 용어입니다.
mosso (움직인, 동요된)
“Mosso”는 이탈리아어로 “움직인”, “동요된”이라는 뜻으로, 음악에서는 “빠르게”, “활발하게”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음악에서 mosso가 사용되는 주요 표현들:
- Più mosso – 더 빠르게, 더 활발하게
- Meno mosso – 덜 빠르게, 더 느리게
- Poco più mosso – 조금 더 빠르게
- Poco meno mosso – 조금 더 느리게
- Mosso (단독 사용) – 빠르게, 활발하게
Mosso는 단순히 빠른 속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에 생동감과 움직임을 부여하는 표현입니다. 연주자에게 음악을 더 활기차고 역동적으로 연주하라는 지시를 나타냅니다.
특히 템포 변화를 나타낼 때 자주 사용되며, 악곡의 흐름에서 긴장감이나 에너지를 높이고 싶을 때 작곡가들이 사용하는 중요한 음악 용어입니다.
laissez vibrer (l.v.)
타악기 악보에서 l.v.는 “laissez vibrer”(레세 비브레)의 줄임말입니다.
의미:
- 프랑스어로 “진동하게 두다”, “울림을 그대로 두다”라는 뜻
- 영어로는 “let vibrate” 또는 “let ring”
연주법:
- 타악기(특히 심벌, 탐탐, 팀파니 등)를 친 후 소리를 억제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울리게 둔다
- 손이나 다른 방법으로 소리를 멈추지 않고 자연스럽게 소멸되도록 한다
- 반대 개념은 “sec”(세크) 또는 “stopped”로, 이는 소리를 즉시 멈추라는 의미
주로 사용되는 악기:
- 심벌(Cymbals)
- 탐탐(Tam-tam)
- 팀파니(Timpani)
- 트라이앵글(Triangle)
- 공(Gong)
이 표시가 있으면 악기를 친 후 여운을 자연스럽게 흘려보내며 연주하시면 됩니다.
dampen (퍼커션)
퍼커션에서 dampen은 소리를 죽이다/막다는 뜻입니다.
구체적으로:
- 악기가 울리고 있는 소리를 손이나 몸으로 막아서 갑자기 끊어버리는 것
- 진동을 멈춰서 여운을 없애는 기법
예시:
- 심벌: 치고 난 후 손으로 심벌을 잡아서 울림을 멈춤
- 팀파니: 손으로 드럼헤드를 살짝 눌러서 소리를 죽임
- 공: 치고 난 후 손으로 공을 잡아서 진동을 멈춤
악보에서는 보통 “+” 기호나 “damp”, “choke” 같은 표시로 나타냅니다. 연주자가 소리의 길이를 정확히 컨트롤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기법입니다.
loco
음악 용어에서 loco는 “원래 자리로”라는 뜻입니다.
사용 상황:
- 8va (옥타브 위로) 또는 8vb (옥타브 아래로) 표시가 있었던 부분이 끝나고 원래 음높이로 돌아갈 때 사용
- “이제 악보에 쓰여진 그대로 연주하세요”라는 의미
예시:
[일반 연주] → 8va → [한 옥타브 위로 연주] → loco → [다시 원래 음높이로 연주]
라틴어에서 온 말로 “제자리에서, 본래 위치에서”라는 뜻입니다.
Marcato
Marcato는 “강조하여, 힘있게”라는 뜻의 음악 용어입니다.
의미:
- 각 음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강조해서 연주
- 단순히 큰 소리가 아니라 “뚜렷하고 힘있게” 연주하는 것
악보 표기:
- > 또는 ^ 기호로 표시
- marc. 또는 marcato로 문자 표기
연주법:
- 각 음의 시작 부분을 특히 강조
- 음들 사이를 명확히 구분
- 날카롭고 결단력 있는 느낌으로 연주
다른 아티큘레이션과의 차이:
- Accent(>): 단순히 그 음만 강하게
- Marcato: 강조하면서도 각 음을 뚜렷하게 분리
- Staccato: 짧게 끊어서
- Legato: 부드럽게 연결해서
이탈리아어로 “표시된, 강조된”이라는 뜻에서 왔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