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톤 브루크너(Anton Bruckner) – Locus iste (이 곳)

Locus iste Locus iste(이 장소), 카탈로그 번호 WAB 23은 안톤 브루크너 (Anton Bruckner; 1824~1896)가 1869년에 작곡한 종교 모테트(motet)입니다. 이 작품의 텍스트(가사)는 교회 봉납식을 매년 축하하기 위한 라틴어 화답송(gradual) “Locus iste“입니다. 시작 구절(incipit)의 “Locus iste a Deo factus est”라는 문구는 “이 곳은 신에 의해 만들어졌다”라는 뜻입니다. 브루크너는 자신이 대성당 오르간 연주자로 더보기…

음악 이론: 메트릭 모듈레이션(Metric Modulation; 박자 변조)

메트릭 모듈레이션(Metric Modulation; 박자 변조) 출처: Metric modulation 음악에서 메트릭 모듈레이션(metric modulation)는 템포(tempo)와 박자(meter)의 변화에 대한 공식입니다. 현대 음악에서는 연주자들이 쉽게 템포를 유지하며 연주할 수 있도록 곡의 템포를 변경할 때 느낌으로 템포를 바꾸지 않고 Metric Modulation에 의한 공식을 사용합니다. 가장 간단한 예로, J.S. 바흐의 작품의 ( = )를 들 수 있습니다. (악보에는 더보기…

프로코피예프(S. Prokofiev): 교향곡 1번 라장조 ‘고전(Classical)’ 작품번호 25

교향곡 1번 ‘고전’ (프로코피예프) 교향곡 1번 라장조 Op. 25번, ‘고전(Classical)’은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첫 번째 교향곡이었습니다. 그는 1916년부터 작곡을 시작해 1917년 9월 10일에 완성했습니다. 이 곡은 요제프 하이든과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고전주의 양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곡입니다. 교향곡의 별명 ‘고전’은 작곡가가 스스로 명명했습니다. 이 작품은 1918년 4월 18일 페트로그라드(Petrograd)에서 프로코피예프의 지휘로 초연되었습니다. 더보기…

대학병원 2박 3일 입원 후기

소개 대학병원 2박 3일 입원 후기 3년 전에 2박 3일간 시술을 위해 대학병원 암병동에 입원한 적이 있었습니다. 이름은 암병동인데 암환자만 가는 곳은 아니고 사실상 소화기내과 병동이라 암 이외의 다른 질환의 환자도 입원할 수 있는 병동이었습니다. 저는 흔히 말하는 그런 일반적인 암 종류는 아니었고 약자로 NET라고 해서 비슷한 유형의 특이한 종양이 더보기…

칼 젠킨스 (Karl Jenkins): Imagined Oceans (상상의 바다)

Imagined Oceans (1998) – 상상의 바다 전체 트랙 리스트. 유튜브 영상의 버튼으로 트랙별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Mare Crisium (Sea of Crises) [Introitus] – 2:51 – 위난의 바다 [인트로 버전]  Lacus Serenitatis (Lake of Serenity) – 4:52 – 평온의 바다 (*Lacus 표기는 오류, 실제 바다의 이름은 Mare Serenitatis) Mare Vaporum (Sea 더보기…

[번역] 연주만으로도 좋은 곡이 되는 코드 진행 TOP 10 (스크립트 원문 + 예제 듣기 포함)

일본어 원문 가리기 (누르면 일본어 원문이 보이지 않습니다.) 연주만으로도 좋은 곡이 되는 코드 진행 TOP 10 弾ひくだけでいい曲きょくになるコード進行しんこう10選せん 연주만으로도 좋은 곡이 되는 코드 진행 10선 鼻歌で作ったメロディに… コード進行を弾ひいて伴奏ばんそうが作られたり… 콧노래로 만든 멜로디에… 코드 진행을 연주하여 반주가 만들어지거나… F → Csus2 → Gsus4 → Am7   オシャレな和音わおんでジャズっぽい曲にも… 세련된 화음으로 재즈 같은 곡으로도… C/F → 더보기…

구스타프 홀스트(Gustav Holst): 군악대를 위한 두 번째 모음곡 바장조 Op. 28, No. 2 (1911)

Second Suite in F for Military Band 군악대를 위한 바장조 두 번째 모음곡 군악대를 위한 바장조 두 번째 모음곡(Op. 28, No. 2)은 구스타프 홀스트의 콘서트 밴드(Concert Band)를 위한 두 개의 모음곡 중 하나입니다. E♭(내림 마장조)의 첫 번째 모음곡에 뒤를 이은 콘서트 밴드 레퍼토리의 주요 연주곡입니다. 1911년에 작곡되어 1922년에 처음 출판된 더보기…

Frank Erickson(프랭크 에릭슨): 주빌로소 서곡 (Overture Jubiloso)

주빌로소 서곡 (Overture Jubiloso) 1978년 출판된 취주악(관악) 밴드를 위한 서곡입니다. jubiloso는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 다양한 언어에 존재하는 단어이며 매우 기뻐하는, 환희하는 (gleeful)이라는 뜻입니다. 제목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상되지 않는 독특한 멜로디와 화성 진행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좋은 의미에서 다른 서곡들과는 이질적인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혹자는 게임 음악을 연상하기도 합니다. 더보기…

Jacob de Haan(야콥 데 한): Pacific Dreams (퍼시픽 드림)

Pacific Dreams 작곡: Jacob de Haan (야콥 데 한) 등급: 4 (*연주 난이도에 대한 등급이며, 높을수록 어려우며 일반적으로 6이 최대치) 편성: 콘서트 밴드 등   프로그램 노트 Pacific Dreams(퍼시픽 드림)는 스페인 출신으로 여행중인 작곡가 Miguel이 고국으로부터 다소 소외감을 느낌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 록스(The Rocks)라는 이름을 가진 시드니의 한 지역을 떠돌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