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 (차용화음)

  • 논다이어토닉 코드 (Non-diatonic chord)입니다.
    • 다이어토닉 코드에서는 긴장-해결 역할을 하는 코드가 V7 ↝ IM7 밖에 없습니다.
    • 단조로워 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다른 키의 도미넌트 코드를 빌려와 긴장-해결감을 줄 수 있는데 이를 세컨더리 도미넌트라고 합니다.
    • 다른 키에서 빌려왔기 때문에 ‘차용화음’이라고도 합니다.

 

예제 1


Transpose:

  • A7 ↝ Dm7의 도미넌트 모션으로 Dm7이 보다 강조됩니다.
  • Key C 스케일에 없는 C♯(도♯) 음이 사운드에 변화를 줍니다.
  • A7 ↝ Dm7 부분만 보면 Key DmV7 ↝ Im7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키에서 빌려온 것으로 본다)

 

예제 2


Transpose:

  • V7 ↝ IM7은 원래 존재하는 도미넌트 모션이기 때문에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VIIm7(-5)에는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근음(root)이 스케일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예를 들어, Key C에서 Bm7(-5)의 도미넌트 코드에 해당하는 F#7F#가 근음으로 Key C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 따라서 총 5개의 세컨더리 도미넌트 세븐스가 있습니다.
  • II7은 더블 도미넌트라고도 합니다.
    • II7이 도미넌트 모션을 통해 V7로 이어지고, 이 V7IM7로 해결됩니다.

 

표기법

조성의 V7과 구분하기 위해 V7(목적 코드의 V7) / (목적 코드) 로 표기합니다.

  • 예: Key CA7 ↝ Dm7의 경우 V7/II ↝ IIm7로 표기

 

도표

Key C Key F
부속7 다음코드 부속7 다음코드
VI7 A7 Dm7 D7 G7
VII7 B7 Em7 E7 Am7
I7 C7 FM7 F7 B♭M7
II7 D7 G7 G7 C7
III7 E7 Am7 A7 Dm7

Transpose:

 

 

구체적인 예

Love me tender – Elvis Presley

 

조성에 맞게 변화한 믹소리디언 스케일

  • 기본적으로 도미넌트 세븐스에서는 믹소리디언 스케일을 어베일러블 노트 스케일(Available Note Scale)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보다 자연스러운 조화를 위해 믹소리디언 스케일에서 비화성음(Non-chord tone)에 해당하는 음들을 현재 조성에 맞춰 평탄화시킬 수 있습니다.

  • A Mixolydian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 A Major-minor 스케일 (Mixolydian ♭6)이 됩니다.

 

  • B Mixolydian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 B Phrygian Dominant 스케일이 됩니다.

 

  • E MixolydianKey C에 맞게 변화시키면 E Phrygian Dominant 스케일이 됩니다.

 

믹소리디언 스케일과 조성의 스케일이 맞는 경우에는 믹소리디언 스케일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 Non-chord tone(빗금친 음표)이 모두 Key C에 존재하는 음들입니다.

문의 | 코멘트 또는 yoonbumtae@gmail.com


카테고리: 음악이론


0개의 댓글

답글 남기기

Avatar placeholder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