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닉스/리눅스 기초 명령어 (dir, cd, pwd, tar, sh, mv, ps)

dir: 디렉토리/파일 목록 표시 cd ..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cd 다음에 [공백] .. 이므로 주의. 공백 없는 cd..는 작동하지 않음. 윈도우 cmd와의 차이점이므로 주의.) pwd: 현재 어디에 있는지 전체 경로로 표시 mv [이동 대상 파일] [이동할 디렉토리]: 파일 이동 mv [원래 파일/디렉토리명] [바꿀 파일/디렉토리명]: 파일 이름 변경(??) tar tvf [tar 더보기…

JMeter: 서버 부하 테스트 프로그램 (기초 사용법)

다운로드: https://jmeter.apache.org/download_jmeter.cgi (자바 8 이상 필요합니다) 윈도우 기준으로 압축을 푼 후 bin/ApacheJMeter.jar (또는 jmeter.bat) 실행합니다. 로그인 등의 과정이 없는 단순한 트래픽 테스트를 위해 예제 사이트로 blazedemo.com을 사용합니다.     Number of Threads(users): 사용자 수 Ramp-up Periods(초): 사용자 수가 모이는(만들어지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유저 수가 100인데 Ramp-up Period가 10이라면 10초동안 100명의 사용자를 만들어내는 더보기…

Node.js: Ace (Syntax Highlighter) 설치하기 (Webpack 4 기준)

참고 사이트 https://github.com/ajaxorg/ace/blob/master/demo/webpack/demo.js#L12 https://ace.c9.io/#nav=embedding   npm 설치하기 npm i ace-builds –save-dev npm install @types/ace –save-dev npm i file-loader –save-dev   메인 js 파일 작성 require(‘./dist/test.css’) // CSS 로딩 방법 import ace from ‘ace-builds/src-noconflict/ace’ import “ace-builds/webpack-resolver”; // npm i file-loader –save-dev var editor = ace.edit(“editor”); editor.setTheme(“ace/theme/monokai”); editor.session.setMode(“ace/mode/javascript”);   템플릿 HTML 작성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JSFiddle 간략하게 흉내내기 (페이지의 소스를 편집 후 스스로 반영)

JSFiddle(https://jsfiddle.net/) 이라는 사이트가 있는데 웹 브라우저 내에서 HTML, JS 코드를 입력하면 즉석에서 결과를 보여주고 공유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document 객체와 document.write 기능을 이용해서 비슷하게 흉내내볼 수 있습니다. 라이브러리 등의 예제 페이지에서 최초에 작성된 소스를 먼저 보여주고 편집도 가능하게 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되겠습니다. This file contains hidden or bidirectional Unicode 더보기…

Java, Spring Boot 예제: 이미지를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아 파워포인트로 만들기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클라이언트, 크롬 등 웹브라우저 이용하는 사람)는 이미지파일을 브라우저에서 업로드한다. 서버에서 그 이미지를 받아서 파워포인트 파일에 삽입한다. 만들어진 파워포인트 파일을 다시 사용자한테 반환한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파워포인트는 org.apache.poi 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만들 수 있으며 depency는 다음과 같습니다. <dependency> <groupId>org.apache.poi</groupId> <artifactId>poi</artifactId> <version>3.17</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apache.poi</groupId> <artifactId>poi-ooxml</artifactId> <version>3.17</version> 더보기…

Node.js: Webpack 4 추가 설정 (CSS, HTML, dev-server) 빌드 및 배포

Node.js: 설치, 코드 실행 (Windows 기준) Node.js: Webpack 설치하기 (Webpack 4 버전 기준) 1. 아래 명령어들을 터미널에 입력합니다. npm install –save-dev html-webpack-plugin npm install –save-dev css-loader npm install –save-dev style-loader npm install –save-dev webpack-dev-server   2. webpack.config.js 파일을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 webpack.config.js var HtmlWebpackPlugin = require(‘html-webpack-plugin’); var path = 더보기…

Node.js: Webpack 설치하기 (Webpack 4 버전 기준)

이전 글: Node.js: 설치, 코드 실행 (Windows, macOS 기준)   Webpack은 프로젝트의 구조를 분석하고 자바스크립트 모듈을 비롯한 관련 리소스들을 찾은 다음 이를 브라우저에서 이용할 수 있는 번들로 묶고 패킹하는 모듈 번들러(Module bundler)라고 합니다.   1. npm으로 Webpack 설치 npm install webpack –save-dev 옵션에서 –save-dev는 로컬 폴더에만 (위 예제에서는 d:\dev\nodejs\ 폴더 내에서만) 더보기…

Node.js: 설치, 코드 실행 (Windows, macOS 기준)

Node.js는 구글 크롬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V8엔진을 탑재한 런타임(실행환경)입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웹 뿐만 아니라 아니라 백엔드 서버 개발, 데스크탑 소프트웨어 개발, IoT 개발 등에서도 자바스크립트가 이용될 수 있도록 자바스크립트 엔진의 적용 반경을 확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 https://nodejs.org/ko/ 에서 안정적이고 신뢰적인 LTS 버전을 받습니다.   2. 받은 파일을 설치합니다. 계속 [다음] 버튼만 누르고 완료하면 더보기…

Spring Boot: 시큐리티(Security) – 1

  스프링에서 로그인, 권한별 접근 기능 등을 구현하고 싶다면 스프링 시큐리티(Spring Security)를 사용해야 합니다. 1. 처음 스타트 프로젝트 생성 시 디펜던시에서 Security를 선택합니다. 나중에 수동으로 추가할 경우에는 아래를 pom.xml의 <dependencies> 내에 추가합니다.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security</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security</groupId> <artifactId>spring-security-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2.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서버를 가동하면 어떤 URL에 접속해도 기본 더보기…

Spring Boot: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

여기서 국제화는 홈페이지의 내용을 다국어로 지원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https://www.navercorp.com/ 사이트를 보면 동일한 레이아웃과 동일한 내용을 한국어 또는 영어로 지원합니다. 이 곳 뿐만 아니라 많은 사이트에서 이런식의 다국어를 지원합니다. 만약 이것을 똑같은 HTML을 복사해서 내용만 바꾸겠다는 식으로 접근하면 홈페이지 제작이 굉장히 힘들겠죠? 처음부터 국제화를 의도하고 제작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0. src/main/resource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