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code Swift 개발 필수 앱: SF Symbols (iOS등의 시스템 이미지 열람, 호환성 확인)

소개 iOS 등 애플 앱 개발 시 사용되는 시스템 이미지, 기호 등을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버전간 호환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서 필수로 사용해야 합니다.   SF Symbols 4,400개가 넘는 기호가 포함된 SF Symbols는 Apple 플랫폼용 시스템 글꼴인 San Francisco와 원활하게 통합되도록 설계된 아이콘 라이브러리입니다. 기호는 9가지 가중치와 3가지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백그라운드 작업 (Background Tasks)

소개 BackgroundTasks는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iOS 13부터 이용 가능) 스토리보드 기준으로 설명합니다.   분류 작업의 복잡도, 에너지 양(배터리 소모정도)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App Refresh Task 상대적으로 가벼운 작업(단순 API 호출 또는 저장 등)에 사용합니다. 실행 빈도가 높고, 사용자가 기기를 사용하는 중에도 작업이 실행됩니다. Processing 더보기…

Swift: 다중 옵셔널 (Nested optional; ??)의 존재 이유와 언래핑 방법

소개 Swift에는 다음과 같은 특이한 형태의 자료형이 있습니다. var nestedOptionalString: String?? = “이중 옵셔널은 왜 있음?” print(nestedOptionalString) 처음에는 Xcode 오류인가 싶었는데, 이러한 자료형은 실제로 사용되는 자료형이었고 무려 iOS 공식 프레임워크(UIKit, MapKit) 등에서 여러 차례 등장합니다. 검색 시 swift double optional 등으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으며 공식 명칭은 Nested Optional입니다.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비트 연산자 (Bit Operator)

이 글은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비트 연산자 (Bit Operator) 포스트에서 자바스크립트를 Swift로 변경하고 내용을 보강하였습니다.   소개 비트 연산자란 2진수(binary)를 연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입니다. 예를 들어 십진법으로 표기한 정수 70을 이진법 표기로 변환하면 0100 0110B 가 되는데, 이 이진법으로 변환된 값을 기준으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자가 비트 연산자입니다. 이하 별도의 표기법이 없는 경우는 전부 십진법 숫자이며,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달력 그리기 (2) → Interface Builder 스토리보드 GUI 방식으로 그리기

이전 글 Swift(스위프트): 달력 그리기 (1) → 달력 데이터 분석   소개 이전 글 달력 그리기 (1) 포스트에 대한 내용이 먼저 숙지되어야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달력의 데이터를 마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 이를 바탕으로 스토리보드 인터페이스 빌더(Interface Builder)를 이용해 GUI 방식으로 달력을 그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컬렉션 뷰(UICollectionView)를 이용하며,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버튼(UIButton)에서 이미지 오른쪽으로 옮기기 / 이미지와 레이블 간 간격 띄우기 (스토리보드)

소개 인터페이스 빌더 (Interface Builder)에서 GUI 방식으로 버튼(UIButton)에서 레이블(텍스트) 옆에 이미지를 추가하고, 이미지의 위치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며, 마지막으로 이미지와 텍스트 간 간격을 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버튼에 이미지 아이콘 추가하기 버튼을 뷰 컨트롤러에 추가합니다. 버튼을 클릭한 뒤 오른쪽에 있는 설정 패널에서 Show Attribute Inspector 아이콘을 클릭해 Attribute Inspector를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달력 그리기 (1) → 달력 데이터 분석

출처 Creating a Custom Calendar Control for iOS   소개 아래와 같은 달력을 그리고자 합니다.   달력을 보면 일요일 ~ 토요일 순으로 해당 날짜가 적혀 있습니다. 괄호 안은 해당 달에 속하지 않는 이전 달 또는 다음달 날짜가 적혀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3년 2월(February)을 보면 첫 주의 (29) (30) (31)은 1월에 속해있으며 더보기…

Swift(스위프트): URL 주소 인코딩 (Percent Encoding)

소개 Swift에서 URL(string:)를 사용하여 텍스트로 된 주소를 이용해 URL 인스턴스를 생성하려고 하는데 한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nil이 반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URL은 Percent Encoding이라고 하는 특수한 인코딩을 사용하며 Swift의 URL은 자동 인코딩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퍼센트 인코딩에서 허용하지 않는 문자를 입력하면 에러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퍼센트 인코딩 (위키백과) 예를 들면 크롬에서 더보기…

Swift(스위프트): 멀티피어 통신 (Multipeer Connectivity) [기초]

출처 Multipeer Connectivity Getting Started with Multipeer Connectivity   소개 멀티피어 통신 (Multipeer Connectivity)는 모바일 기기간에 Wi-Fi 네트워크, P2P Wi-Fi 및 Bluetooth 등의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연결된 피어는 중간 웹 서비스를 거치지 않고 메시지, 스트림 또는 파일 리소스를 다른 장치로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더보기…

Swift(스위프트): 홈 스크린에 바로가기 메뉴(Quick Actions, 퀵 액션) 만들기

소개 아래와 같이 홈 스크린에서 앱 아이콘을 길게 누르거나 혹은 포스 터치(세게 누름; 일부 모델만 지원)를 한 경우 메뉴가 뜨는데 이걸 퀵 액션(Quick Action)이라고 합니다. 퀵 액션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Static – 앱의 상황과 관계 없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앱을 설치하자마자 바로 이용할 수 있는 메뉴입니다. 예) 검색 기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