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연동 – 스프링 시큐리티와 연결 (1)

깃허브에서 전체 코드 보기 – https://github.com/ayaysir/spring-boot-security-example-1 보다 개선된 네이버 로그인 – 스프링 부트(Spring Boot): 구글 로그인 연동 (스프링 부트 스타터의 oauth2-client) 이용 +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 이전글의 두 상황을 결합하여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이하 네아로)을 스프링 시큐리티와 연결하는 예제입니다. Spring Boot: – 네이버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 연동하기 (1) Spring Boot: 시큐리티(Security) – 4 더보기…

phpMyAdmin: 테이블에 외래키 설정하기

[구조] 버튼을 클릭합니다. [릴레이션 뷰] 버튼을 클릭합니다. 제약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외래키로 사용할 컬럼(다른 테이블을 참조하는 컬럼)의 컬럼명을 설정합니다. 참조되는 컬럼(다른 테이블의 기본키)의 컬럼명을 찾아 설정합니다. 두 컬럼 간의 데이터 타입 및 인코딩은 일치해야 합니다. 옵션 (SET NULL: 참조되는 컬럼이 변경되면 null로 업데이트/CASCADE: 연쇄 업데이트/RESTRICT: 변경 제한/NO ACTION: 참조되는 컬럼의 변경에 더보기…

Spring Boot 예제: 회원가입 폼 만들기

이 예제에는 스프링 시큐리티와 Thymeleaf가 사용되었습니다. 기초적인 데이터베이스 insert 예제로, 특별한 내용은 없고 다음을 연습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회원 테이블에 비밀번호를 BCrypt로 해싱한 텍스트를 입력 원칙적으로 입력한 값에 대한 유효성 검사는 프론트엔드 측과 백엔드 측 모두에서 행해져야 하는데, 백엔드 측의 유효성 검사 과정을 추가 시간 관계상 프론트엔드 측 유효성 검사는 구현하지 더보기…

Spring Boot: Webjars (Bootstrap, JQuery 등의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를 메이븐을 통해 관리)

Webjars는 스프링 부트에서 Bootstrap, JQuery 등의 프론트엔드 라이브러리를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자체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예제로 부트스트랩과 JQuery를 추가하겠습니다.   1. webjars.org를 접속한 다음 Popular WebJars 에서 Build Tool: Maven을 선택합니다.   2. 사용하고자 하는 라이브러리의 <dependency/> 안의 내용을 복사한 다음 pom.xml의 <dependencies/> 태그 내에 추가합니다. <dependencies> … <!– webjars.org –> 더보기…

Spring Boot: 시큐리티(Security) – 5 – 권한별 접근 가능한 페이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설정하기 (동적 설정)

깃허브에서 전체 코드 보기 – https://github.com/ayaysir/spring-boot-security-example-1   스프링 부트 시큐리티에서 자주 변경되는 정보를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참고 블로그)     Security Config 클래스의 코드에서 위의 빨간색 네모 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가져오는 것으로 바꾸는 작업을 하겠습니다. 이유는 위 네모박스는 자주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인데 하드코딩 방식으로 정보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정규표현식 (Regular Expression; 정규식) 정리

정규표현식(이하 정규식)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정규식은 자바스크립트에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그래밍 언어마다 사용방법이나 문법 등이 미묘하게 다르기 때문에 여기서는 자바스크립트를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정규식 선언 방법 var regex1 = /정규식/ var regex2 = new RegExp(“정규식”); 슬래시(/)로 감싸거나, RegExp("정규식")를 사용해서 선언합니다. 보통 전자의 방법이 선호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변수가 정규식에 포함되어야 더보기…

Spring Boot 예제: 초간단 게시판

이 예제에는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였습니다. 시큐리티와 관련된 내용은  스프링 시큐리티 관련 글을 참고하세요.   개요 Spring Boot의 기본 기능(Thymeleaf, 시큐리티 포함)을 이용해서 전통적 형태의 웹 게시판을 만들었습니다. 게시판은 웹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필수라고 볼 수 있는 CRUD(Create, Read, Update, Delete)를 연습하기에 적당한 예제입니다. 이 게시판은 로그인 환경을 가정하여 만들었습니다. 로그인 관련 부분은 더보기…

Thymeleaf: 요소 반복하기 (th:each)

Thymeleaf  관련 글 보기 Thymeleaf에서 특정 요소를 for문처럼 반복하는 방법으로 th:each가 있습니다. <table> <thead> <tr> <th>No.</th> <th>username</th> <th>title</th> <th>date</th> </tr> </thead> <tbody> ……………….. </tbody> </table> <tbody> <tr th:each=”article, i: ${list}”> <td th:text=”${article.seq}”></td> <td th:text=”${article.username}”></td> <td sec:authorize=”isAuthenticated()”> <a th:href=”${‘/board/read/’ + article.seq}” th:text=”${article.title}”></a> <span class=”text-blue” th:if=”${i.count eq i.size}”>[1등]</span> </td> <td sec:authorize=”!isAuthenticated()” th:text=”${article.title}”></td> 더보기…

Spring Boot: 시큐리티(Security) – 4 – 로그인 폼을 거치지 않고 컨트롤러에서 로그인

깃허브에서 전체 코드 보기 – https://github.com/ayaysir/spring-boot-security-example-1   로그인 폼을 거치지 않고 컨트롤러에서 로그인 처리를 하는 방법입니다. 외부 소셜 로그인 기능과 스프링 시큐리티를 연동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 메소드를 컨트롤러 내에 삽입합니다. /** * 로그인 폼을 거치지 않고 바로 로그인 * @param username * @return */ @RequestMapping(“/loginWithoutForm/{username}”) public String 더보기…

iPhone XR, iPhone XS & XS Max, iPhone X에서 복구 모드로 들어가는 방법

장비를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iPhone을 복구 모드로 설정해야 합니다.  복구 모드에 있을 때 iPhone XS, XR, XS Max 또는 X는 iTunes 또는 macOS Finder (Catalina 이상)를 사용하여 직접 복원 할 수 있습니다. 복구 모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USB 케이블과 최신 버전의 iTunes 또는 MacOS Catalina 이상이 설치된 컴퓨터가 필요합니다. 복구 모드를 더보기…